이 시스템은 마작 멘쯔가 모자라는 상황을 대비하여 만든 것으로, 인간을 대신하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쯔모하고 타패를 하며 오픈리치를 걸게 되어 있습니다. 멘쯔가 모자란데 마작 밖에 할 게 없는 극한 상황에서는 이 아카기봇을 추가하여 대처할 수 있습니다.
아카기봇은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프로그래밍 되었지만 컨트롤하는데는 마작에 대한 기본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가장 마작에 대해 해박한 플레이어가 아카기봇의 컨트롤을 담당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아카기봇의 타패 원리는 마작의 기본적 타패원리에 입각한 것으로 교육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컨트롤러는 이러한 점을 숙지하시고 타패할 때마다 충분한 설명을 하시길 바랍니다.
2.1.텐빠이가 아닐 경우
*몸통과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없는 패를 버린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를 버린다.
2.2.텐빠이일 경우
바로 리치를 선언하며 가장 대기가 다양해지는 패를 버린다. 이것은 항상 오픈 리치로 간주한다.
![]()
![]()
![]()
6삭과 7통 중 귀족패에 근접한 7통을 버립니다.
tag : 마작, 아카기
아카기봇은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프로그래밍 되었지만 컨트롤하는데는 마작에 대한 기본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가장 마작에 대해 해박한 플레이어가 아카기봇의 컨트롤을 담당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아카기봇의 타패 원리는 마작의 기본적 타패원리에 입각한 것으로 교육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컨트롤러는 이러한 점을 숙지하시고 타패할 때마다 충분한 설명을 하시길 바랍니다.
akagi_bot.1.0.pdf
마작 NPC Ver.1.0 규칙과 해설
1.기본 규칙
패를 모두 공개한 채로 게임을 진행한다.
패는 만통삭동남서북백발중의 순서로, 수패는 오름차순으로 정리한다. 쯔모한 패도 바로 정리한다.
(각종 디지털 마작에서 패를 정리하는 순서를 따랐으므로 본 시스템을 디지털 마작으로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구종구패, 치, 퐁, 밍깡을 선언하지 않으며 오름 불가 상황이 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안커가 모이면 즉시 안깡을 선언한다.
(오름 불가 상황이란 리치를 건 상태에서 안깡을 선언함으로써 대기패가 변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경우 안깡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아이패드 작룡문을 통한 테스트 결과 영상개화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습니다)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구성 가능한 몸통의 구성패를 모두 몸통으로 간주한다.
마작 NPC Ver.1.0 규칙과 해설
1.기본 규칙
패를 모두 공개한 채로 게임을 진행한다.
패는 만통삭동남서북백발중의 순서로, 수패는 오름차순으로 정리한다. 쯔모한 패도 바로 정리한다.
(각종 디지털 마작에서 패를 정리하는 순서를 따랐으므로 본 시스템을 디지털 마작으로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구종구패, 치, 퐁, 밍깡을 선언하지 않으며 오름 불가 상황이 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안커가 모이면 즉시 안깡을 선언한다.
(오름 불가 상황이란 리치를 건 상태에서 안깡을 선언함으로써 대기패가 변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경우 안깡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아이패드 작룡문을 통한 테스트 결과 영상개화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습니다)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구성 가능한 몸통의 구성패를 모두 몸통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778889가 있다면 모두를 몸통으로 간주합니다.)
2.타패 기본 규칙
타패 대상이 여럿일 경우 그 중 귀족패를 버린다.
2.타패 기본 규칙
타패 대상이 여럿일 경우 그 중 귀족패를 버린다.
*그 중 귀족패가 없을 경우 버려야 할 패들 중 가장 귀족패에 근접한 패를 버린다.
**최종적인 타패 대상이 여럿일 경우 그 중 가장 오른쪽 패를 버린다.
(자패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게 되어 있으며, 수패134689가 있을 경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 뿐인 9, 8, 1이 타패 대상이 되나, 우선 귀족패인 9, 1이 타패 대상이 되고, 그 중 오른쪽인 9를 먼저 타패합니다. 가장 근접했다는 것은 1이나 9에 가까운 것을 말합니다. 즉 4와 6은 귀족패에 근접한 정도가 동일합니다. 이 경우 오른쪽인 6이 최종 타패 대상이 됩니다.)
2.1.텐빠이가 아닐 경우
*몸통과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없는 패를 버린다.
(예를 들어 수패 23이 있을 경우, 2와 3 모두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는 1, 4입니다. 수패 35가 있을 경우 둘 모두 대기는 4입니다. 수패 223이 있을 경우 2의 대기는 1, 2, 4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아카기봇은 하나뿐인 자패, 고립된 수패를 버립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몸통이나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인 패를 버린다.
(위 단계를 이미 거쳤으므로 완전히 고립된 패는 없습니다. 아카기봇은 이제 오른쪽에서부터 몸통과 머리는 건너뛰고 유연성이 낮은 패를 버립니다. 예를 들어 수패 1245가 있을 경우 4와 5의 대기는 3, 6 둘이지만 1과 2의 대기는 3뿐입니다. 대기가 하나 뿐이므로 1과 2가 타패 대상이 되며 이중 귀족패인 1을 버립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 중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 이하인 패를 버린다.
(패가 거의 완성된 상태로, 인간의 경우 꽤 고민을 하는 단계입니다. 그러나 아카기봇은 고민하지 않고 위 단계에서 건너뛴 머리 중 귀족패로 구성된 것이나 오른쪽에 가장 가까운 것을 깨기 시작합니다. 이 단계를 거치면 아카기봇의 리치는 대기가 풍부해집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를 버린다.
(좀처럼 오지 않는 단계로, 패가 요상하게 꼬인 상태입니다. 아카기봇은 머리를 타패 대상으로 보고 패를 돌립니다. 인간의 경우 이런 짓을 하면 후리텐에 걸리기 일쑤지만 아카기봇은 어차피 패를 공개하므로 후리텐을 꺼리지 않습니다.)
2.2.텐빠이일 경우
바로 리치를 선언하며 가장 대기가 다양해지는 패를 버린다. 이것은 항상 오픈 리치로 간주한다.
(따라서 누가 일부러 론패를 던지지 않는 한 아카기봇은 오픈리치멘젠쯔모 3판을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 다면대기를 우선시하므로 핑후 도라1의 만관까지 쉽게 올라갑니다.)
종합예시1.

고립패가 없으므로 우선 첫단계를 넘어갑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몸통이나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인 패를 버린다.
두번째 단계에서 아카기봇은 패를 오른쪽부터 검토합니다.
7삭은 머리이므로 넘어갑니다.
5삭은 46삭 대기이므로 넘어갑니다.
3삭은 머리이므로 둘 다 넘어갑니다.
34556통은 연결되었으므로 몸통으로 간주하고 넘어갑니다.
8만은 머리이므로 넘어갑니다.
23만은 14만 대기이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 중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 이하인 패를 버린다.
이제 머리를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7삭은 67삭으로 몸통이 될 수 있으므로 타패 대상이 아닙니다.
3삭도 34삭 대기이므로 넘어갑니다.
8만은 대기가 8만 뿐이므로 아카기봇은 위 상황에서 8만을 버립니다.
종합예시 2.

*몸통과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없는 패를 버린다.
첫 단계는 척봐도 이미 지나갔습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몸통이나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인 패를 버린다.
9삭은 머리이므로 패스.
78889만은 몸통이므로 패스
2333455는 몸통이므로 패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 중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 이하인 패를 버린다.
9삭의 대기가 9삭 뿐이므로 타패합니다.
종합예시 3.

*몸통과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없는 패를 버린다.
마찬가지로 첫단계는 넘어갑니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몸통이나 머리가 아니며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인 패를 버린다.
5667삭은 몸통이므로 패스.
1삭도 몸통이므로 패스.
7통은 머리이므로 패스.
6통은 58통 대기이므로 패스.
23통은 14통 대기이므로 패스.
78만은 69만 대기이므로 패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 중 몸통이 되기 위한 대기가 하나 이하인 패를 버린다.
6삭은 467삭 대기이므로 패스.
7통은 58통 대기이므로 패스.
****이러한 패가 없을 경우 머리를 버린다.
위와 같이 아카기봇은 알고리즘에 따라 행동하므로 절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유국 직전이더라도 리치를 거는 공격적 마작을 선보입니다. 상대해보면 누구나 그 합리적이고 강력한 타법에 놀랄 것입니다.
tag : 마작, 아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