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두스 노부스의 초벌 번역텍스트입니다. 일본어 매뉴얼을 기초로 번역했으므로 중역이고, 심지어 시간에 쫓기며 번역했으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지적부탁드립니다. PDF판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16세기 스페인에서, 플레이어는 최근에 발견된 "몬두스 노부스(신세계)"의 부를 찾는 유력 선주가 된다. 플레이어의 목적은 귀중품(전설의 잉카 제국의 유물을 포함)을 모으기 위한 캐러벨 선단을 설립하고, 교역으로 최고의 조합을 만들어 자신의 상업제국을 확대하고 부를 이루는 것이다.
1.내용물
-교역장 토큰 1개
-더블룬 90개: 10더블룬 30개, 5더블룬 30개, 1더블룬 30개.
-무역 카드 120개: 카카오(1)6장, 옥수수(2)16장, 담배(3)16장, 커피(4)12장, 면(5)12장, 사탕수수(6)12장, 감자(7)8장, 인디고(8)8장, 바닐라(9)8장잉카의 유물12장.
-발전 카드 44장
-이벤트 토큰 6개
-매뉴얼 1권
2.게임의 목적
플레이어가 승리하는데는 3가지 방법이 있다.
-라운드 종료시 75더블룬을 소유.
-라운드 종료시 10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를 만든다.(1-2-3-4-5-6-7-8-9-잉카의 유물)
발전 카드열에 카드를 보충할 수 없게 된 라운드의 끝에 가장 많은 더블룬을 소유.
3.게임 준비
자원 카드를 잘 섞어 뒷면으로 쌓아놓는다. 위에서 3장을 펼쳐 덱 옆에 늘어놓아 시장으로 사용한다.
*
우측 하단에 플레이어 수보다 큰 숫자가 적힌 발전 카드를 게임에서 제거한다.
*
나머지 발전 카드를 잘 섞어 뒷면으로 쌓아놓는다. 위에서 5장을 펼쳐 덱 옆에 늘어 놓아, 발전 카드 열로 사용한다.
이벤트 토큰을 앞면으로 쌓아놓은 뒤 맨 위에 "이벤트 없음" 토큰을 올려놓는다.
가장 어린 플레이어가 교역장 토큰을 받는다.
4.게임 진행
게임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플레이하며, 각 라운드는 다음 4단계로 나뉘어 있다.
-이벤트
-보급
-교역
-발전
(1)이벤트
각 라운드 시작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에 이벤트 아이콘이 있나 확인한다.
이벤트 아이콘이 있을 경우, 그 아이콘은 그 라운드 내내 적용되는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한다(우측 상자 참조).
이벤트 아이콘이 없을 경우, 그 라운드 중에는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 라운드 중의 이벤트 종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대응하는 토큰을 이벤트 토큰의 더미 맨 위에 놓는다(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을 경우"이벤트 없음"토큰을 가장 위에 놓는다).
첫번째 발전 카드가 무엇이든 1라운드째에는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2)보급
각 플레이어는 덱에서 자원 카드를 뒷면으로 5장씩 받는다.
그 뒤, 모든 플레이어가 가진 "캐러벨선" 1장당 자원 카드 1장을 덱에서 펼쳐 테이블 가운데 놓는다(시장 카드와 섞이지 않도록 주의).
주의: 이로 인해 플레이어는 1라운드째에는 뒷면으로 카드 5장만을 받는다. 이 상태는 누군가 캐러벨선을 얻을 때까지 계속된다.
*
국왕의 원조: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여럿 만들고, 발전 카드를 여러 장 얻을 수 있다.
원주민: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로, 카드 1장 당 1 더블룬 밖에 얻을 수 없다.
폭풍: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어떤 종류의 자원 카드를 몇 장 사용해도,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 밖에 가져갈 수 없다.
화재: 라운드 종료시, 모든 플레이어는 "창고"에 자원 카드를 보관할 수 없다("창고"에서 돈을 얻을 수는 있다)
해적: 보급 단계 종료 직후, 플레이어는 자신이 가진 캐러벨선 2장 이상으로 구성된 선단 하나 당, 자원 카드 1장을 무작위로 버려야 한다. (캐러벨선이 1장 밖에 없는 플레이어의 자원 카드는 잃지 않는다).
주의: "후안 폰세 데 레온"이 없는 한, 선단을 둘로 나눌 수는 없다.
*
*
캐러벨선이 6장 나와 있다. 각 플레이어에게 자원 카드 5장을 뒷면으로 나눠준 후, 6장의 자원 카드를 앞면으로 테이블 가운데 놓는다.
선단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부터 순서대로 각 플레이어는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고른다. A와 C의 선단치가 같으므로, 더 가치가 낮은 캐러벨선을 가진 C가 가장 먼저 카드 3장을 고르고, 그 뒤 A가 1장을 고른다. 마지막으로 B가 2장을 갖는다.
*
공개된 자원 카드를 가져갈 순서를 정하기 위해, 플레이어는 자신의 선단치를 계산한다. 자신이 가진 각 캐러벨선의 가치의 합이 선단치다. 그 뒤, 선단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부터 순서대로,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고른다. 선단치가 같을 경우, 그 중 가장 선단치가 낮은 캐러벨선을 가진 플레이어가 먼저 고른다.
(3)교역
교역장 토큰을 가진 플레이어는 각 플레이어가 교역에 낼 수 있는 자원 카드의 장수를 선언한다. 선언하는 장수는 2~4장이어야 한다.
각 플레이어는 선언된 장수만큼 교역에 낼 카드를 비밀리에 손에서 골라, 뒷면으로 자기 앞에 놓는다. 모든 플레이어가 골랐다면 동시에 공개한다.
각 플레이어는 교역에 낸 카드의 가치를 더한다.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가 새 교역장이된다(교역장 토큰을 받는다). 이 계산을 할 때, 잉카의 유물의 가치는 10으로 간주한한다.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가 여럿일 경우, 그 중 현재의 교역장이 있다면 교역장은 바뀌지 않는다. 없을 경우, 현재의 교역장이 새 교역장을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들 중)고른다.
새 교역장이 결정되었다면 교역을 시작한다.
새 교역장은 다른 플레이어 1명이 교역에 낸 카드 중 1장을 뽑는다. 그 뒤 다음 중 하나를 실행한다.
-그 카드를 손에 넣는다.
-그 카드를 시장에 놓고, 시장의 카드 1장을 골라 손에 넣는다.
이제 카드를 뽑힌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나머지 카드 중 1장을 뽑는다(자기 카드를 뽑아간 플레이어의 카드를 뽑을 수도 있다). 그 뒤 그 플레이어도 위와 같은 선택을 한다. 모든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카드와 같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때까지 이를 반복한다.
중요: 같은 플레이어간 3번 이상 연속으로 교역을 할 수 없다. A가 B의 카드를 뽑고, B가 A의 카드를 뽑았을 경우, A는 B의 카드를 다시 뽑지 못하고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를 뽑아야 한다(2인 플레이의 경우 이 규칙은 무시한다).
교역 종료시, 2가지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카드가 교역장에게서 뽑혀, 모든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것과 같은 수의 카드를 받았다: 이 경우 아무 조정도 하지 않는다.
-마지막 카드가 교역장 이외의 플레이어에게서 뽑혀, 그 플레이어는 1장 적게, 교역장은 1장 많게 카드를 받았다: 이 경우, 교역장은 손(이번에 교역으로 손에 넣은 것이 아니라도 무방)에서 1장을 비밀리에 골라서 그 플레이어에게 준다.
특별한 상황: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가 모두 교환되었는데 1명의 카드만 남아있을 경우가 있다(대체로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교역을 끊긴 경우). 이 때, 그 플레이어는 남은 카드를 손으로 되돌린다. 그 플레이어가 교역장일 경우, 교역은 공평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역장이 아닐 경우, 그 플레이어의 카드는 1장 부족하므로, 교역장은 그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카드를 1 장 준다.
(4)발전
교역장은 그 단계의 선 플레이어를 결정한다(다른 플레이어는 시계방향으로 턴을 진행한다). 이 단계 중, 턴을 진행하는 플레이어는 모두 같은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 모두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 잉카의 유물 카드 세트를 각각 1세트씩 만들 수 있다("국왕의 원조"이벤트가 일어났을 경우,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몇 세트든 만들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는, 새로운 발전 카드를 얻는데 사용한다.
플레이어는 한 턴 중,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국왕의 원조"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 1세트만 만들 수 있다.
주의: 이 세트를 만들 때만, 잉키의 유물은 와일드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몇 장이든 사용할 수 있고, 잉카의 유물만으로 어떤 자원 카드 세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는 3~5장의 카드로 만들 수 있다. 어떤 세트라도 발전 카드 열에서 카드 1장을 가져갈 수 있으나, 카드의 장수가 많고, 희귀한 카드를 사용할 수록 선택지가 넓어진다(하단의 표 참조).
일반적인 자원/ 희귀한 자원/ 극히 희귀한 자원
1, 2, 3/ 4, 5, 6/ 7, 8, 9
카드 3장: 발전 카드열의 첫번째 카드/1~3번째 카드 중 1장/아무 카드 1장
카드 4장: 1~3번째 카드 중 1장/아무 카드 1장
카드 5장: 아무 카드 1장
발전 카드를 골랐다면, 즉시 다음과 같이 새로운 카드를 놓는다.
-빈 공간을 채우도록 발전 카드 열의 카드를 첫번째 카드 쪽으로 민다.
-그 결과 5번째 카드의 공간이 빈다.
-덱 맨 윗장을 뽑아 앞면으로 빈 칸을 채운다.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는 더블룬을 준다.
플레이어는 한 턴 중,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를 1세트만 만들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자원 세트에 잉카의 유물 카드를 넣을 수는 없다.
카드 4장-5더블룬
카드 5장-7더블룬
카드 6장-10더블룬
카드 7장-15더블룬
카드 8장-20더블룬
카드 9장-25더블룬
잉카의 유물 카드는, 다음과 같이 특수하게 사용한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에서 와일드 카드로 사용한다.
-더블룬을 얻기 위해 단독으로 사용한다.
잉카의 유물 1장-3더블룬
잉카의 유물 2장-7더블룬
잉카의 유물 3장-12더블룬
잉카의 유물 4장-18더블룬
잉카의 유물 5장-25더블룬
이 단계 종료시, 플레이어는 사용하지 않은 카드를 ("창고"가 없는 한) 모두 버려야 한다. 때문에 플레이어는 가장 많은 더블룬을 획득하고, 최고의 발전 카드를 손에 넣기 위해 가능한한 최고의 세트를 만들어 카드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막는 노력을 해야 한다.
5.게임 종료
라운드 종료시 이하의 조건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다면 게임은 끝난다.
-누군가 75더블룬 이상을 갖고 있다: 그 중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누군가 완벽한 세트(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9장+잉카의 유물 1장)을 제시했다: 그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주의:
-이 세트를 만들기 위해 "상인"을 몇 장 사용해도 무방하다.
-여러 플레이어가 동시에 라운드 중 완벽한 세트를 만들었을 경우(좀처럼 없는 일이지만), 그 중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자가 된다.
-완벽한 세트가 만들어진 라운드 중, 다른 플레이어가 75 더블룬 이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완벽한 세트를 만든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발전 단계 중 덱이 다 떨어져, 발전 카드 열에 카드를 5장으로 할 수 없었다: 그 라운드를 끝까지 진행한 뒤, 게임이 끝난다. 이 경우,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6.발전 카드 해설
게임을 진행함에 따라서 플레이어는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로 상인을 고용하거나, 창고, 조선소, 캐러벨선을 건조하거나 유명인의 협력을 받을 수 있다.
주의: 라운드마다 더블룬을 주는 발전 카드는, 발전 단계 중 자신의 턴이 끝날 때(그 카드를 획득한 턴을 포함) 효과를 발휘한다.
(1)상인
한 라운드에 한 번,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아무 자원 카드 1장을 "상인"의 종류에 따른 자원카드(1이나 2나 3, 혹은 4나 5나 6, 혹은 7이나 8이나 9)1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상인"은 라운드마다 1 혹은 2 더블룬을 준다.
아래 그림의 "상인"에 의해 플레이어는 5, 5, 1(1을 5로 사용한다) 세트로 발전 카드 열의 1~3번째 카드로부터 1장을 얻을 수 있다. 또, 플레이어는 매 라운드 1더블룬을 얻는다.
(2)창고
라운드 종료시, 플레이어는 "창고"에 사용하지 않은 자원 카드를 보관할 수 있다. "창고" 중에는 자원 카드를 1장 보관할 수 있는 것도 있고, 2장 보관할 수 있는 것도 있다. 1장 밖에 보관할 수 없는 "창고"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3)조선소
발전 단계 종료시, 플레이어는 가지고 있는 "조선소" 1장마다, 자신보다 많은 캐러벨선을 가진 플레이어 1명 당 1더블룬을 은행에서 받는다. 플레이어 인원이 많아질 수록 "조선소"는 강력해진다.
(4)캐러벨선
각 보급 단계 중, 플레이어는 가지고 있는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추가로 얻는다.
(5)디에고 데 알마그로(Diego de Almagro)
(출생: 알마그로 1480년~사망: 쿠스코 1538년) 프란시스코 피자로와 함께 잉카 제국 정복에 참가했고, 그 뒤 피자로와 대립하여 실각했다.
알마그로는 라운드마다 2더블룬을 준다.
발전 카드를 가져갈 때, 자원 카드 세트로 가져갈 수 있는 카드를 가져가는 대신 "디에고 데 알마그로"를 가진 플레이어는 덱 맨 윗장을 가져갈 수 있다.
(6)후안 데 라 코사(Juan de la Cosa)
(출생: 산토나 1460년~사망: 영국령 투르바코 1510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최초의 항해시 기선 "산타 마리아"호의 소유자이면서, 선장이었다. 1499년에는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탐사대 주임도선사였다. 후안은 신세계를 그린 최초의 세계지도의 제작자이다.
후안은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후안 데 라 코사"를 가진 플레이어는 이벤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 플레이어에게 유리한 이벤트("국왕의 원조")에도 적용된다.
(7)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Bartolome de la Casas)
(출생: 세비야 1474년~사망: 마드리드 1566년)스페인의 도미니코회 사제로, 스페인인 이주자의 부정행위를 폭로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카사스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를 가진 플레이어는 교역장의 지시를 무시할 수 있다. 때문에 플레이어는 0장부터 교역장이 선언한 장수 사이에서 원하는 장수의 자원 카드를 교역에 낼 수 있다.
교역장이 "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를 가진 경우, 원래대로 2~4장을 선언하지만, 자신은 거기에 따를 필요가 없다.
(8)곤잘로 피자로(Gonzalo Pizzaro)
(출생: 투르히요 1502년~사망: 쿠스코 1548년) 잉카 제국을 정복한 신대륙 정복자다. 정복한 잉카 제국에 대한 태도로 인해 디에고 데 알마그로와 대립하여 피자로는 알마그로를 체포, 참수했다.
"곤잘로 피자로"를 가진 플레이어가 가진 캐러벨선 중,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은 가치 0으로 간주한다.
(9)후안 폰세 데 레온(Juan Ponce de Leon)
(출생: 1460년~사망:1521년)푸에르토리코 최초의 총독이 된 신대륙 정복자로, 플로리다를 탐험한 최초의 유럽인으로 추정. 이 탐험에서 레온은 젊음의 샘을 찾고 있었다고 한다.
"후안 폰세 데 레온"을 가진 플레이어는 소유한 캐러벨선을 두 선단으로 나눌 수 있다. 추가 카드를 정하는 순서를 결정할 때나, "해적"이벤트의 대상을 정할 때, 각 선단을 다른 선단으로 간주한다.
(10)페드로 데 발디비아(Pedro de Valdovia)
(출생: 비야누에바 데 라 세레나 1500년~사망: 칠레 1553년)피자로의 심복 중 1명이다. 모자란 자원, 아타카마 사막의 가혹한 환경, 적대적인 원주민에도 굴하지 않고 발디비아는 칠레의 북쪽 절반을 탐험하여 장래의 수도 산티아고를 설립했다.
발디비아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교역 단계 중, 각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카드의 가치 합계를 제시했을 때, "페드로 데 발디비아"를 가진 플레이어는 가치 합계에 3을 더한다.
(11)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Francisco de Orellana)
(출생: 1490년~사망: 아마존 1545년)아마존강의 이름을 지었다. 1541년, 오레야나는 키토를 떠나, 시나몬(유럽에서는 황금보다 비쌌다)을 찾아서 내륙부로 출발했다. 스페인인 220명 중 140명, 인디언 4000명 중 3000명을 잃고, 가짜 시나몬 나무밖에 찾지 못한 후, 오레야나는 인디언 안내인들을 굶주린 개에게 먹였다.
교역 단계 중, 자신이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뽑은 카드를 시장의 카드와 교환했을 때, 시장에 같은 자원 카드가 3장 놓여있거나, 연속되는 숫자의 자원 카드 3장이 놓여있을 경우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를 가진 플레이어는 즉시 은행에서 2더블룬을 받는다. 이 능력은 한 라운드 중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를 시장에 있는 같은 종류의 카드로 교환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12)프란시스코 데 코로나도(Francisco de Coronado)
(출생: 살라만카 1510년~사망: 멕시코시티 1554년 9월 22일) 1540년부터 1542년에 걸쳐 뉴멕시코와 현재의 합중국남서부를 여행한 스페인의 신대륙 정복자이다. 아메리카에 도착한 뒤, 코로나도는 원주민을 안심시키고 구스를 수 있는 능력으로 유명해졌다. 때문에, 코로나도는 1538년에 뉴 갈리시아(지금의 멕시코에 있는 시날로아주와 나야리트주)의 지사로 임명되었다. 고로나도는 마르코스 데 니자를 누멕시코에 파견했고, 니자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부유한 도시 시볼라에 대하여 보고했다. 이에 흥미를 느껴 코로나도는 그 황금도시를 찾기로 했다. 1540년, 코로나도는 340명의 스페인군과 300명의 인디언 조력자, 1000명의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리카인 노예를 이끌고 출발했다.
각 라운드 시작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에 "이벤트 없음" 아이콘이 있을 경우, "프란시스코 데 코로나도"를 가진 플레이어는 2더블룬을 지불하고 원하는 이벤트를 일으킬 수 있다.
(13)에르난 코르테스(Hernan Cortes)
(출생: 엑스트레마두라 주 메데인 마을 1485년~사망: 세비야 인근 카스티예야 데 라 쿠에스타 1547년 12월 2일) 카스티예야 왕이자 신성 로마제국 황제였던 찰스 5세를 위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한 스페인의 신대륙 정복자. 이 정복은 뉴 스페인의 설립활동이었으며, 16세기 아메리카에 있어서 스페인 이주의 시작이었다.
코르테스는 라운드마다 3더블룬을 준다.
tag : 보드게임, 몬두스노부스
16세기 스페인에서, 플레이어는 최근에 발견된 "몬두스 노부스(신세계)"의 부를 찾는 유력 선주가 된다. 플레이어의 목적은 귀중품(전설의 잉카 제국의 유물을 포함)을 모으기 위한 캐러벨 선단을 설립하고, 교역으로 최고의 조합을 만들어 자신의 상업제국을 확대하고 부를 이루는 것이다.
1.내용물
-교역장 토큰 1개
-더블룬 90개: 10더블룬 30개, 5더블룬 30개, 1더블룬 30개.
-무역 카드 120개: 카카오(1)6장, 옥수수(2)16장, 담배(3)16장, 커피(4)12장, 면(5)12장, 사탕수수(6)12장, 감자(7)8장, 인디고(8)8장, 바닐라(9)8장잉카의 유물12장.
-발전 카드 44장
-이벤트 토큰 6개
-매뉴얼 1권
2.게임의 목적
플레이어가 승리하는데는 3가지 방법이 있다.
-라운드 종료시 75더블룬을 소유.
-라운드 종료시 10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를 만든다.(1-2-3-4-5-6-7-8-9-잉카의 유물)
발전 카드열에 카드를 보충할 수 없게 된 라운드의 끝에 가장 많은 더블룬을 소유.
3.게임 준비
자원 카드를 잘 섞어 뒷면으로 쌓아놓는다. 위에서 3장을 펼쳐 덱 옆에 늘어놓아 시장으로 사용한다.
*
우측 하단에 플레이어 수보다 큰 숫자가 적힌 발전 카드를 게임에서 제거한다.
*
나머지 발전 카드를 잘 섞어 뒷면으로 쌓아놓는다. 위에서 5장을 펼쳐 덱 옆에 늘어 놓아, 발전 카드 열로 사용한다.
이벤트 토큰을 앞면으로 쌓아놓은 뒤 맨 위에 "이벤트 없음" 토큰을 올려놓는다.
가장 어린 플레이어가 교역장 토큰을 받는다.
4.게임 진행
게임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플레이하며, 각 라운드는 다음 4단계로 나뉘어 있다.
-이벤트
-보급
-교역
-발전
(1)이벤트
각 라운드 시작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에 이벤트 아이콘이 있나 확인한다.
이벤트 아이콘이 있을 경우, 그 아이콘은 그 라운드 내내 적용되는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한다(우측 상자 참조).
이벤트 아이콘이 없을 경우, 그 라운드 중에는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 라운드 중의 이벤트 종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대응하는 토큰을 이벤트 토큰의 더미 맨 위에 놓는다(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을 경우"이벤트 없음"토큰을 가장 위에 놓는다).
첫번째 발전 카드가 무엇이든 1라운드째에는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2)보급
각 플레이어는 덱에서 자원 카드를 뒷면으로 5장씩 받는다.
그 뒤, 모든 플레이어가 가진 "캐러벨선" 1장당 자원 카드 1장을 덱에서 펼쳐 테이블 가운데 놓는다(시장 카드와 섞이지 않도록 주의).
주의: 이로 인해 플레이어는 1라운드째에는 뒷면으로 카드 5장만을 받는다. 이 상태는 누군가 캐러벨선을 얻을 때까지 계속된다.
*
국왕의 원조: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여럿 만들고, 발전 카드를 여러 장 얻을 수 있다.
원주민: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로, 카드 1장 당 1 더블룬 밖에 얻을 수 없다.
폭풍: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어떤 종류의 자원 카드를 몇 장 사용해도,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 밖에 가져갈 수 없다.
화재: 라운드 종료시, 모든 플레이어는 "창고"에 자원 카드를 보관할 수 없다("창고"에서 돈을 얻을 수는 있다)
해적: 보급 단계 종료 직후, 플레이어는 자신이 가진 캐러벨선 2장 이상으로 구성된 선단 하나 당, 자원 카드 1장을 무작위로 버려야 한다. (캐러벨선이 1장 밖에 없는 플레이어의 자원 카드는 잃지 않는다).
주의: "후안 폰세 데 레온"이 없는 한, 선단을 둘로 나눌 수는 없다.
*
*
캐러벨선이 6장 나와 있다. 각 플레이어에게 자원 카드 5장을 뒷면으로 나눠준 후, 6장의 자원 카드를 앞면으로 테이블 가운데 놓는다.
선단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부터 순서대로 각 플레이어는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고른다. A와 C의 선단치가 같으므로, 더 가치가 낮은 캐러벨선을 가진 C가 가장 먼저 카드 3장을 고르고, 그 뒤 A가 1장을 고른다. 마지막으로 B가 2장을 갖는다.
*
공개된 자원 카드를 가져갈 순서를 정하기 위해, 플레이어는 자신의 선단치를 계산한다. 자신이 가진 각 캐러벨선의 가치의 합이 선단치다. 그 뒤, 선단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부터 순서대로,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고른다. 선단치가 같을 경우, 그 중 가장 선단치가 낮은 캐러벨선을 가진 플레이어가 먼저 고른다.
(3)교역
교역장 토큰을 가진 플레이어는 각 플레이어가 교역에 낼 수 있는 자원 카드의 장수를 선언한다. 선언하는 장수는 2~4장이어야 한다.
각 플레이어는 선언된 장수만큼 교역에 낼 카드를 비밀리에 손에서 골라, 뒷면으로 자기 앞에 놓는다. 모든 플레이어가 골랐다면 동시에 공개한다.
각 플레이어는 교역에 낸 카드의 가치를 더한다.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가 새 교역장이된다(교역장 토큰을 받는다). 이 계산을 할 때, 잉카의 유물의 가치는 10으로 간주한한다.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가 여럿일 경우, 그 중 현재의 교역장이 있다면 교역장은 바뀌지 않는다. 없을 경우, 현재의 교역장이 새 교역장을 (합계가 가장 큰 플레이어들 중)고른다.
새 교역장이 결정되었다면 교역을 시작한다.
새 교역장은 다른 플레이어 1명이 교역에 낸 카드 중 1장을 뽑는다. 그 뒤 다음 중 하나를 실행한다.
-그 카드를 손에 넣는다.
-그 카드를 시장에 놓고, 시장의 카드 1장을 골라 손에 넣는다.
이제 카드를 뽑힌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나머지 카드 중 1장을 뽑는다(자기 카드를 뽑아간 플레이어의 카드를 뽑을 수도 있다). 그 뒤 그 플레이어도 위와 같은 선택을 한다. 모든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카드와 같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때까지 이를 반복한다.
중요: 같은 플레이어간 3번 이상 연속으로 교역을 할 수 없다. A가 B의 카드를 뽑고, B가 A의 카드를 뽑았을 경우, A는 B의 카드를 다시 뽑지 못하고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를 뽑아야 한다(2인 플레이의 경우 이 규칙은 무시한다).
교역 종료시, 2가지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카드가 교역장에게서 뽑혀, 모든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것과 같은 수의 카드를 받았다: 이 경우 아무 조정도 하지 않는다.
-마지막 카드가 교역장 이외의 플레이어에게서 뽑혀, 그 플레이어는 1장 적게, 교역장은 1장 많게 카드를 받았다: 이 경우, 교역장은 손(이번에 교역으로 손에 넣은 것이 아니라도 무방)에서 1장을 비밀리에 골라서 그 플레이어에게 준다.
특별한 상황: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가 모두 교환되었는데 1명의 카드만 남아있을 경우가 있다(대체로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교역을 끊긴 경우). 이 때, 그 플레이어는 남은 카드를 손으로 되돌린다. 그 플레이어가 교역장일 경우, 교역은 공평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역장이 아닐 경우, 그 플레이어의 카드는 1장 부족하므로, 교역장은 그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카드를 1 장 준다.
(4)발전
교역장은 그 단계의 선 플레이어를 결정한다(다른 플레이어는 시계방향으로 턴을 진행한다). 이 단계 중, 턴을 진행하는 플레이어는 모두 같은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 모두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 잉카의 유물 카드 세트를 각각 1세트씩 만들 수 있다("국왕의 원조"이벤트가 일어났을 경우,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몇 세트든 만들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는, 새로운 발전 카드를 얻는데 사용한다.
플레이어는 한 턴 중,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를 ("국왕의 원조"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 1세트만 만들 수 있다.
주의: 이 세트를 만들 때만, 잉키의 유물은 와일드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몇 장이든 사용할 수 있고, 잉카의 유물만으로 어떤 자원 카드 세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는 3~5장의 카드로 만들 수 있다. 어떤 세트라도 발전 카드 열에서 카드 1장을 가져갈 수 있으나, 카드의 장수가 많고, 희귀한 카드를 사용할 수록 선택지가 넓어진다(하단의 표 참조).
일반적인 자원/ 희귀한 자원/ 극히 희귀한 자원
1, 2, 3/ 4, 5, 6/ 7, 8, 9
카드 3장: 발전 카드열의 첫번째 카드/1~3번째 카드 중 1장/아무 카드 1장
카드 4장: 1~3번째 카드 중 1장/아무 카드 1장
카드 5장: 아무 카드 1장
발전 카드를 골랐다면, 즉시 다음과 같이 새로운 카드를 놓는다.
-빈 공간을 채우도록 발전 카드 열의 카드를 첫번째 카드 쪽으로 민다.
-그 결과 5번째 카드의 공간이 빈다.
-덱 맨 윗장을 뽑아 앞면으로 빈 칸을 채운다.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는 더블룬을 준다.
플레이어는 한 턴 중, 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세트를 1세트만 만들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자원 세트에 잉카의 유물 카드를 넣을 수는 없다.
카드 4장-5더블룬
카드 5장-7더블룬
카드 6장-10더블룬
카드 7장-15더블룬
카드 8장-20더블룬
카드 9장-25더블룬
잉카의 유물 카드는, 다음과 같이 특수하게 사용한다.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에서 와일드 카드로 사용한다.
-더블룬을 얻기 위해 단독으로 사용한다.
잉카의 유물 1장-3더블룬
잉카의 유물 2장-7더블룬
잉카의 유물 3장-12더블룬
잉카의 유물 4장-18더블룬
잉카의 유물 5장-25더블룬
이 단계 종료시, 플레이어는 사용하지 않은 카드를 ("창고"가 없는 한) 모두 버려야 한다. 때문에 플레이어는 가장 많은 더블룬을 획득하고, 최고의 발전 카드를 손에 넣기 위해 가능한한 최고의 세트를 만들어 카드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막는 노력을 해야 한다.
5.게임 종료
라운드 종료시 이하의 조건 중 어느 것이 만족되었다면 게임은 끝난다.
-누군가 75더블룬 이상을 갖고 있다: 그 중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누군가 완벽한 세트(다른 종류의 자원 카드 9장+잉카의 유물 1장)을 제시했다: 그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주의:
-이 세트를 만들기 위해 "상인"을 몇 장 사용해도 무방하다.
-여러 플레이어가 동시에 라운드 중 완벽한 세트를 만들었을 경우(좀처럼 없는 일이지만), 그 중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자가 된다.
-완벽한 세트가 만들어진 라운드 중, 다른 플레이어가 75 더블룬 이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완벽한 세트를 만든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발전 단계 중 덱이 다 떨어져, 발전 카드 열에 카드를 5장으로 할 수 없었다: 그 라운드를 끝까지 진행한 뒤, 게임이 끝난다. 이 경우, 가장 부유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6.발전 카드 해설
게임을 진행함에 따라서 플레이어는 같은 종류의 자원 세트로 상인을 고용하거나, 창고, 조선소, 캐러벨선을 건조하거나 유명인의 협력을 받을 수 있다.
주의: 라운드마다 더블룬을 주는 발전 카드는, 발전 단계 중 자신의 턴이 끝날 때(그 카드를 획득한 턴을 포함) 효과를 발휘한다.
(1)상인
한 라운드에 한 번, 발전 단계 중, 플레이어는 아무 자원 카드 1장을 "상인"의 종류에 따른 자원카드(1이나 2나 3, 혹은 4나 5나 6, 혹은 7이나 8이나 9)1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상인"은 라운드마다 1 혹은 2 더블룬을 준다.
아래 그림의 "상인"에 의해 플레이어는 5, 5, 1(1을 5로 사용한다) 세트로 발전 카드 열의 1~3번째 카드로부터 1장을 얻을 수 있다. 또, 플레이어는 매 라운드 1더블룬을 얻는다.
(2)창고
라운드 종료시, 플레이어는 "창고"에 사용하지 않은 자원 카드를 보관할 수 있다. "창고" 중에는 자원 카드를 1장 보관할 수 있는 것도 있고, 2장 보관할 수 있는 것도 있다. 1장 밖에 보관할 수 없는 "창고"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3)조선소
발전 단계 종료시, 플레이어는 가지고 있는 "조선소" 1장마다, 자신보다 많은 캐러벨선을 가진 플레이어 1명 당 1더블룬을 은행에서 받는다. 플레이어 인원이 많아질 수록 "조선소"는 강력해진다.
(4)캐러벨선
각 보급 단계 중, 플레이어는 가지고 있는 "캐러벨선" 1장 당 자원 카드 1장을 추가로 얻는다.
(5)디에고 데 알마그로(Diego de Almagro)
(출생: 알마그로 1480년~사망: 쿠스코 1538년) 프란시스코 피자로와 함께 잉카 제국 정복에 참가했고, 그 뒤 피자로와 대립하여 실각했다.
알마그로는 라운드마다 2더블룬을 준다.
발전 카드를 가져갈 때, 자원 카드 세트로 가져갈 수 있는 카드를 가져가는 대신 "디에고 데 알마그로"를 가진 플레이어는 덱 맨 윗장을 가져갈 수 있다.
(6)후안 데 라 코사(Juan de la Cosa)
(출생: 산토나 1460년~사망: 영국령 투르바코 1510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최초의 항해시 기선 "산타 마리아"호의 소유자이면서, 선장이었다. 1499년에는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탐사대 주임도선사였다. 후안은 신세계를 그린 최초의 세계지도의 제작자이다.
후안은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후안 데 라 코사"를 가진 플레이어는 이벤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 플레이어에게 유리한 이벤트("국왕의 원조")에도 적용된다.
(7)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Bartolome de la Casas)
(출생: 세비야 1474년~사망: 마드리드 1566년)스페인의 도미니코회 사제로, 스페인인 이주자의 부정행위를 폭로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카사스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를 가진 플레이어는 교역장의 지시를 무시할 수 있다. 때문에 플레이어는 0장부터 교역장이 선언한 장수 사이에서 원하는 장수의 자원 카드를 교역에 낼 수 있다.
교역장이 "바르톨로메 데 라 카사스"를 가진 경우, 원래대로 2~4장을 선언하지만, 자신은 거기에 따를 필요가 없다.
(8)곤잘로 피자로(Gonzalo Pizzaro)
(출생: 투르히요 1502년~사망: 쿠스코 1548년) 잉카 제국을 정복한 신대륙 정복자다. 정복한 잉카 제국에 대한 태도로 인해 디에고 데 알마그로와 대립하여 피자로는 알마그로를 체포, 참수했다.
"곤잘로 피자로"를 가진 플레이어가 가진 캐러벨선 중,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은 가치 0으로 간주한다.
(9)후안 폰세 데 레온(Juan Ponce de Leon)
(출생: 1460년~사망:1521년)푸에르토리코 최초의 총독이 된 신대륙 정복자로, 플로리다를 탐험한 최초의 유럽인으로 추정. 이 탐험에서 레온은 젊음의 샘을 찾고 있었다고 한다.
"후안 폰세 데 레온"을 가진 플레이어는 소유한 캐러벨선을 두 선단으로 나눌 수 있다. 추가 카드를 정하는 순서를 결정할 때나, "해적"이벤트의 대상을 정할 때, 각 선단을 다른 선단으로 간주한다.
(10)페드로 데 발디비아(Pedro de Valdovia)
(출생: 비야누에바 데 라 세레나 1500년~사망: 칠레 1553년)피자로의 심복 중 1명이다. 모자란 자원, 아타카마 사막의 가혹한 환경, 적대적인 원주민에도 굴하지 않고 발디비아는 칠레의 북쪽 절반을 탐험하여 장래의 수도 산티아고를 설립했다.
발디비아는 라운드마다 1더블룬을 준다.
교역 단계 중, 각 플레이어가 교역에 낸 카드의 가치 합계를 제시했을 때, "페드로 데 발디비아"를 가진 플레이어는 가치 합계에 3을 더한다.
(11)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Francisco de Orellana)
(출생: 1490년~사망: 아마존 1545년)아마존강의 이름을 지었다. 1541년, 오레야나는 키토를 떠나, 시나몬(유럽에서는 황금보다 비쌌다)을 찾아서 내륙부로 출발했다. 스페인인 220명 중 140명, 인디언 4000명 중 3000명을 잃고, 가짜 시나몬 나무밖에 찾지 못한 후, 오레야나는 인디언 안내인들을 굶주린 개에게 먹였다.
교역 단계 중, 자신이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뽑은 카드를 시장의 카드와 교환했을 때, 시장에 같은 자원 카드가 3장 놓여있거나, 연속되는 숫자의 자원 카드 3장이 놓여있을 경우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를 가진 플레이어는 즉시 은행에서 2더블룬을 받는다. 이 능력은 한 라운드 중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를 시장에 있는 같은 종류의 카드로 교환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12)프란시스코 데 코로나도(Francisco de Coronado)
(출생: 살라만카 1510년~사망: 멕시코시티 1554년 9월 22일) 1540년부터 1542년에 걸쳐 뉴멕시코와 현재의 합중국남서부를 여행한 스페인의 신대륙 정복자이다. 아메리카에 도착한 뒤, 코로나도는 원주민을 안심시키고 구스를 수 있는 능력으로 유명해졌다. 때문에, 코로나도는 1538년에 뉴 갈리시아(지금의 멕시코에 있는 시날로아주와 나야리트주)의 지사로 임명되었다. 고로나도는 마르코스 데 니자를 누멕시코에 파견했고, 니자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부유한 도시 시볼라에 대하여 보고했다. 이에 흥미를 느껴 코로나도는 그 황금도시를 찾기로 했다. 1540년, 코로나도는 340명의 스페인군과 300명의 인디언 조력자, 1000명의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리카인 노예를 이끌고 출발했다.
각 라운드 시작시, 발전 카드 열의 첫번째 카드에 "이벤트 없음" 아이콘이 있을 경우, "프란시스코 데 코로나도"를 가진 플레이어는 2더블룬을 지불하고 원하는 이벤트를 일으킬 수 있다.
(13)에르난 코르테스(Hernan Cortes)
(출생: 엑스트레마두라 주 메데인 마을 1485년~사망: 세비야 인근 카스티예야 데 라 쿠에스타 1547년 12월 2일) 카스티예야 왕이자 신성 로마제국 황제였던 찰스 5세를 위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한 스페인의 신대륙 정복자. 이 정복은 뉴 스페인의 설립활동이었으며, 16세기 아메리카에 있어서 스페인 이주의 시작이었다.
코르테스는 라운드마다 3더블룬을 준다.
tag : 보드게임, 몬두스노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