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메모선장의 블루하우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544

기록의 백업은 기억의 보존

$
0
0

9년째 매일 일기를 쓰고 있는데다 이런저런 기록을 남기는데 묘한 집착이 있는 나로서는 데이터 보존이 여간 중요한 일이 아니다. 손으로 쓴 일기는 사실상 손실될 일이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종이만큼 훌륭한 보존 매체도 드물다), 손으로 쓰는데 한계를 느껴 워드프로세서로 작성을 시작한 뒤로는 데이터 소실이 호환마마보다 무서워졌다. 그래서 항상 중요 데이터는 PDA의 SD카드에 저장했는데, 어느날 이게 고장났다. 간신히 복구는 했지만 SD카드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에 떨어졌고, 결국 그 날부터 하드에 매일 백업을 하기 시작했다. 그것도 홀수일과 짝수일로 나눠 아무리 심각한 사태가 발생해도 데이터 손실이 하루로 최소화 되도록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편집증에 가깝다.
그러다 시대가 바뀌어 PDA에서 아이팟으로 엄청난 세대교체를 했고, 더이상 메모리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백업 방식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바뀌었다. 자동 백업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국내외로 두 종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고 있으니 컴퓨터가 폭발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테러를 당해도 가장 중요한 데이터들은 복구할 수 있다. 무슨 현자의 유산도 아닌데 이 정도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지만 백업은 아무리 많이 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이 데이터 소실을 겪어본 나의 신조다.
아무튼 PDA를 쓰던 시절에 비하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한 시대다. 그 시절에는 모바일 기기로 인터넷에 접속한다는 것 자체가 지극히 힘든 일이었으므로 클라우드 서비스 같은 것은 생각도 못했다. PDA나 아이폰이나 PC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독립 기기가 아니라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사실 그 덕에 좋은 점도 있다. 수년간 PDA를 매일 동기화하는 습관이 붙어서 아이폰도 매일 아침 동기화 하는데, 아이튠즈는 동기화 할 때마다 알아서 백업을 해버리니 기기를 분실하거나 초기화해도 별 타격이 없다. 사진은 찍으면 바로 아이클라우드에 백업되는데다 얼마 전에 드랍박스에서 온갖 USB 기기의 사진을 자동 백업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한 덕에 드랍박스에도 아무 불편 없이 백업하고 있다. 특히 드랍박스의 이 자동 백업 서비스는 사진을 저장하는 동시에 시간순으로 파일명을 정렬해주기 때문에 여행에 다녀와 몇개의 기기로 찍은 사진이든 시간 순으로 볼 수 있어서 이만저만 편리한 것이 아니다. 모르는 분은 꼭 사용해보길 바란다. 원래 사진도 한 달에 한 번 정도 수동으로 하드에 백업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드랍박스를 쓰기 시작한 이후로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아무튼 정리해보자면 나는 아이폰의 데이터는 아이튠즈로, 일기와 사진은 두개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매일 백업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간단한 텍스트는 에버노트로 작성하고 컴퓨터, 아이폰, 아이패드 세 기기로 편집하니 서버를 비롯하여 네개의 기기에 실시간 백업하는 셈이다. 연락처도 구글과 동기화시켜 놔서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동시 저장되니 소실될 걱정이 없다.
물론 이렇게 편집증적으로 백업을 하라는 것은 아니지만, 첨단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은 것은 "어떤 최첨단 기록매체도 종이만 못하다"는 것이다. 까딱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보다 점토판이 나을 지경이다.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는 유리처럼 위태로워서 항상 소실의 위험을 안고 있다. 바이러스, 업데이트, 조작 미스, 기기 분실 등 수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처럼 편리한 것도 없으니 가능한한 많은 복사본을 만들어두는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아이폰을 사용하시는 분은 이따금 아이튠즈로,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하시는 분은 이따금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백업을 하시는 게 좋고, 드랍박스는 누구에게나 유용하니 꼭 써보시길 권합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544

Latest Images

Trending Articles